Spring15 [Spring]디스패처 서블릿과 스프링 설정 디스패처 서블릿 설정은 WEB-INF 폴더의 web.xml파일에 2가지를 설치한다. 디스패처 서블릿(클라이언트의 요청 받음) 애플리케이션 컨텍스트(공통으로 전달받음) web.xml에서 과 으로 서블릿명과 url패턴을 설정한다. 이 *.do로 설정될 경우 클라이언트에게 *.do로 끝나는 url 요청이 디스패처서블릿에 전달된다. 디스패처서블릿은 WEB-INF 폴더의 spring-context.xml의 스프링 설정 파일을 초기화한다. 디스패처서블릿이 요청 처리에 필요한 핸들러매핑,컨트롤러,뷰리졸버,뷰 등을 빈으로 설정한다. 2021. 11. 14. [Spring]SqlSessionFactory 연동순서 SqlSessionFactory는 데이터베이스와의 연결과 SQL의 실행에 대한 모든 것을 가진 가장 중요한 객체이다. SqlSessionFactory가 dataSource 객체를 참조하여 Mybatis 와 Mysql 서버를 연결시켜준다. [연결시키기] 1. root-context.xml에 sqlSessionFactory 를 생성하는 객체 생성. 2. mybatis-config.xml파일 추가 후 configLocation 속성 추가 2021. 11. 13. [Spring]웹사이트 만드는 예제에서 interface 궁금한점 스프링에서 xml과 interface를 이용하여 인스턴스를 생성하는데 interface인 BoardDao와 BoardService를 만드는데 둘의 코드가 같았다. BoardDao BoardService 내용 똑같은데 왜 두개 필요하지? 그냥 하나로 다 implement해서 쓰면 안되나? 이런생각이 들었다. 알아보니 클래스 이름은 다르고 내용이 같은 이유가 있었다. BoardService는 정보를 전달해주는 용도이고(그래서 클래스이름에 service가 붙는듯) BoardDao 데이터베이스쪽으로 정보를 처리하는 용도였던 것. 같은 정보를 전달하는것이어서 내용이 당연히 같아야 하는것이었다..! 2021. 11. 12. web.xml에서 welcome-file-list 란? Spring프로젝트에서 web.xml파일에서 설정하는 태그는 무엇일까? 서버의 루트 경로를 설정해주는데, 기본으로 띄워주는 파일을 선택해준다. 간단히 말해서 주소창에 localhost8080 을 쳤을때 어떤 창이 나올지 정해주는 태그라고 보면된다. 1. 설정 우선 src/main/webapp/WEB-IINF/web.xml 경로에 있는 web.xml파일을 열어 아래의 태그를 추가해준다. index.jsp 브라우저 주소창에 localhost8080을 쳤을때 index.jsp라는 파일이 나오게 설정했다. 주소창에 localhost8080을 쳐보자. 1. 주소창에 localhost8080으로 요청한 모습 2. 주소창에 localhost8080/index.jsp로 요청한 모습 2021. 11. 10.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