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코딩2 [생활코딩] 포트(port) naver.com:80 localhost:8080 같이 :뒤에 나오는 숫자가 포트이다. 포트는 SSH를 통해서 A컴퓨터에서 B컴퓨터로 접속하고 싶을때 필요하다. A컴퓨터에서 커맨드 창을 켜고 해당 명령어를 입력하고 (포트번호)에는 B컴퓨터의 포트번호를 써준다. sh -p(포트번호 ex:22) 계정@서버주소 ssh -p22 egoing@192.168.0.65 (여기서 -p는 포트라는 뜻) SSH 클라이언트 접속 종료하기 exit 만약 sh -p (포트번호) 명령어 입력했는데 Connection refused 라고 뜨고 접속되지 않는 경우, 포트 번호가 잘못된 것이다. 그런데 sh -p 명령어 뒤에 포트번호를 생략해도 22번 포트로 연결이 된다. 왜 그럴까? 🤔 우선 서버, 클라이언트 컴퓨터가 있다고 하자... 2022. 11. 20. [자바]클래스의 상속관계 확인하기 생활코딩을 보고 학원에서 배운 내용을 복기하던중에 상속관계를 확인하는 좋은방법을 알게되었다. PrintWriter 클래스의 기능을 알고싶은 상황에서, PrintWriter 의 인스턴스 p2 를 봤을때 p2.toString();로 toString()메서드를 사용하고 있다. PrintWriter은 toString()메서드를 가지고있을지 확인해보자. 상속관계를 알고 싶은 클래스를 블럭잡고 마우스 우클릭. Open Type Hirerarchy 클릭. 왼쪽을 보면 상속관계가 나와있다. Object 2021. 10. 7.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