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블릿3

[서블릿] 서블릿 속성 서블릿 속성이란 세 가지 서블릿API 클래스에 저장되는 객체(정보). 즉 ServletContext HttpSession HttpservletRequest 에 저장되는 객체 정보이다. 로그인 상태 유지 기능. 장바구니 기능. MVC의 model과 view의 데이터 전달 기능. (Model,Vo,Control 의 약어이다) setAttribute로 바인딩하고, getAttribute로 바인딩 된 속성을 가져오면 된다. 2021. 10. 26.
[서블릿] dispatch를 이용한 포워드 dispatch는 ‘보내다’라는 의미가 있다. dispatch는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쓴다. 데이터 전송시 클라이언트의 웹 브라우저를 거치지 않고 바로 서버에서 포워딩한다. (포워드란 서블릿에서 서블릿으로, 서블릿에서 JSP와 연동하는 방법이다. 정보를 전달하는 방식이다.) dispatch는 웹 브라우저 주소창 URL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예시를 들기 위해서 first라는 이름의 서블릿 파일을 만든다.(맵핑명도 first) dispatch로 요청을 second로 보낸다. second라는 이름의 두번째 서블릿 파일을 만든다.(맵핑명도 second) 값을 표시할 수 있도록 입력해준다. 그 다음 브라우저 주소창 url에 first를 요청한다. second 서블릿에 작성했던 내용이 표시.. 2021. 10. 25.
[서블릿] form태그의 get방식과 post방식의 차이 Html의 폼태그는 정보를 서버쪽으로 전송한다. get방식, post방식을 사용한다. 두 방식 중 어떤 방식으로 보낼것인지를 지정해야한다. get방식과 post방식의 공통점과 차이점 공통점은 둘다 서버에 요청을 하는 메서드이다. Html 에서 get또는 post방식으로 서버에 요청을 하면 java 서블렛 서버에서 응답한다. get방식은 url에 key와 value값을 포함시킨다. 그래서 url 창에 key와 value값이 드러난다. 또한 그렇기때문에 Body는 비어있다.(넣을 내용이 없다) 그리고 전송할수있는 데이터양에도 한계가 있다. post방식보다 get방식이 더 빠른데 그 이유는 get방식이 캐싱을 통해 데이터를 요청하기 때문이다. 캐싱이란 최초 접근 이후 재요청할시 빠르게 접근하기위해 데이터를 미.. 2021. 10. 24.